반응형
세기 | 중국 | 한국 | 일본 | 12대 주요 역사적 사건 |
---|---|---|---|---|
**기원전 30~21세기** | **하나라 (기원전 2070년경~1600년경)**: 전설적 왕조, 초기 국가 형태 형성. | **고조선 초기 (기원전 2333년 전설적 건국)**: 단군 신화에 따라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 청동기 문화 시작. | **조몬 시대 초기 (기원전 1만년~3000년)**: 수렵채집 중심, 초기 도기 제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기). | 1. 단군 신화 전승 (기원전 2333년, 한국). 2. 하나라 건국 전설 (기원전 2070년경, 중국). 3. 조몬 도기 제작 시작 (기원전 1만년, 일본). 4. 하나라 우 임금의 치수 사업 (기원전 2000년경, 중국). 5. 고조선 청동기 문화 발달 (기원전 2000년경, 한국). 6. 조몬 시대 해양 자원 활용 (기원전 2500년경, 일본). 7. 하나라 계급 사회 형성 (기원전 2100년경, 중국). 8. 고조선 초기 부족 연맹 (기원전 2200년경, 한국). 9. 조몬 문화의 지역적 다양화 (기원전 2300년경, 일본). 10. 하나라 멸망과 상나라 전환 (기원전 1600년경, 중국). 11. 고조선 농경 문화 초기 도입 (기원전 2100년경, 한국). 12. 조몬 시대 초기 주거지 형성 (기원전 2800년경, 일본). |
**기원전 20~16세기** | **상나라 (기원전 1600년경~1046년)**: 은허 유적, 갑골문자 발명, 제사 문화 발달. | **고조선 성립기**: 청동기 문화 확산, 요동 지역 중심으로 부족 연맹 강화. | **조몬 시대 중기**: 정착 생활 확대, 어로와 수렵 중심 경제 유지. | 1. 상나라 갑골문자 사용 (기원전 1600년경, 중국). 2. 고조선 요동 지역 통치 강화 (기원전 1800년경, 한국). 3. 조몬 시대 정착 마을 형성 (기원전 1700년경, 일본). 4. 상나라 청동기 기술 발전 (기원전 1500년경, 중국). 5. 고조선 초기 농업 도입 (기원전 1900년경, 한국). 6. 조몬 시대 초기 종교적 제사 (기원전 1600년경, 일본). 7. 상나라 탕왕의 하나라 정복 (기원전 1600년경, 중국). 8. 고조선 부족 간 교류 확대 (기원전 1700년경, 한국). 9. 조몬 문화의 토기 장식 발전 (기원전 1800년경, 일본). 10. 상나라 제사 문화 확립 (기원전 1600년경, 중국). 11. 고조선 초기 철기 도입 시도 (기원전 1700년경, 한국). 12. 조몬 시대 기후 변화 대응 (기원전 1600년경, 일본). |
**기원전 15~11세기** | **상나라 말기~주나라 초기 (기원전 1046년~771년)**: 주나라 무왕의 상나라 정복, 봉건제도 도입. | **고조선 성장기**: 청동기 문명 융성, 비파형 동검 제작, 요하 유역 중심지 형성. | **조몬 시대 후기**: 기후 변화로 인한 생활 방식 변화, 농업 기술 초기 도입. | 1. 주나라 무왕의 상나라 멸망 (기원전 1046년, 중국). 2. 고조선 비파형 동검 제작 (기원전 1200년경, 한국). 3. 조몬 시대 농업 기술 도입 (기원전 1100년경, 일본). 4. 주나라 봉건제도 확립 (기원전 1046년, 중국). 5. 고조선 요하 유역 중심지 형성 (기원전 1300년경, 한국). 6. 조몬 시대 기후 변화 대응 (기원전 1200년경, 일본). 7. 상나라 은허 유적 번성 (기원전 1300년경, 중국). 8. 고조선 부족 연맹 강화 (기원전 1400년경, 한국). 9. 조몬 시대 지역 교류 확대 (기원전 1300년경, 일본). 10. 주나라 문왕의 도덕 정치 (기원전 1100년경, 중국). 11. 상나라 주왕의 폭정 (기원전 1046년경, 중국). 12. 고조선 청동기 무기 제작 (기원전 1200년경, 한국). |
**기원전 10~6세기** | **주나라 춘추시대 (기원전 771년~476년)**: 제후국 간 패권 다툼, 공자 사상 태동 (기원전 551년). | **고조선 전성기**: 기자조선 설화 (기원전 1122년경), 요서 지역 통치 강화. | **조몬 시대 말기~야요이 시대 초기 (기원전 300년~)**: 벼농사 도입, 철기 문화 시작. | 1. 기자조선 설화 (기원전 1122년, 한국). 2. 주나라 동천 (기원전 771년, 중국). 3. 야요이 시대 벼농사 도입 (기원전 300년, 일본). 4. 고조선 요서 지역 통치 (기원전 800년경, 한국). 5. 공자 출생 (기원전 551년, 중국). 6. 조몬 시대 말기 농업 확산 (기원전 500년경, 일본). 7. 주나라 제나라 환공 패권 (기원전 681년, 중국). 8. 고조선 청동기 문화 확산 (기원전 700년경, 한국). 9. 야요이 시대 철기 도입 (기원전 300년경, 일본). 10. 주나라 춘추시대 전쟁 빈발 (기원전 700년경, 중국). 11. 고조선 내부 통합 강화 (기원전 900년경, 한국). 12. 주나라 노자 사상 태동 (기원전 600년경, 중국). |
**기원전 5~3세기** | **전국시대 (기원전 475년~221년)**: 진나라 시황제 통일 준비, 병법 발전 (손자병법). | **고조선 쇠퇴기**: 기원전 323년 연나라 침공, 요동 반도 상실. | **야요이 시대**: 사회 계층화, 부족 연맹 형성, 청동기 제작. | 1. 연나라 고조선 침공 (기원전 323년, 한국). 2. 전국시대 시작 (기원전 475년, 중국). 3. 야요이 시대 부족 연맹 (기원전 300년경, 일본). 4. 고조선 요동 상실 (기원전 323년, 한국). 5. 손자병법 저술 (기원전 500년경, 중국). 6. 야요이 시대 청동기 제작 (기원전 400년경, 일본). 7. 전국시대 진나라 강성 (기원전 350년경, 중국). 8. 고조선 내부 갈등 (기원전 400년경, 한국). 9. 야요이 시대 농업 정착 (기원전 400년경, 일본). 10. 전국시대 상앙 변법 (기원전 356년, 중국). 11. 진나라 장의의 외교 전략 (기원전 300년경, 중국). 12. 고조선 연나라와 교역 (기원전 400년경, 한국). |
**기원전 2~1세기** | **한나라 (기원전 202년~220년)**: 실크로드 개척, 장건의 서역 탐험 (기원전 138년). | **위만조선 멸망 (기원전 108년)**: 한나라 침공으로 고조선 멸망, 한사군 설치. **부여 건국 (기원전 100년경)**. | **야요이 시대 지속**: 야마타이국 형성 전 단계, 초기 국가 형태로 전환. | 1. 위만조선 멸망 (기원전 108년, 한국). 2. 한나라 건국 (기원전 202년, 중국). 3. 야마타이국 전 단계 (기원전 100년경, 일본). 4. 한사군 설치 (기원전 108년, 한국). 5. 장건 서역 탐험 (기원전 138년, 중국). 6. 부여 건국 (기원전 100년경, 한국). 7. 한나라 실크로드 개척 (기원전 120년경, 중국). 8. 야요이 시대 계층화 심화 (기원전 100년경, 일본). 9. 한나라 고조선 정복 (기원전 108년, 중국). 10. 한나라 무제의 중앙집권 (기원전 141년, 중국). 11. 부여 초기 통치 체제 (기원전 100년경, 한국). 12. 한나라 동중서 유교 이념 채택 (기원전 134년, 중국). |
**1세기** | **후한 (25년~220년)**: 유교 국가 이념 채택, 황제 중심 체제 강화. | **고구려 (기원전 37년)**, **백제 (기원전 18년)**, **신라 (기원전 57년)** 건국. 삼국시대 시작. | **야마타이국 (1세기 말~3세기 초)**: 히미코 여왕 통치, 중국과의 외교 시작 (『위지』에 기록). | 1. 고구려 건국 (기원전 37년, 한국). 2. 백제 건국 (기원전 18년, 한국). 3. 신라 건국 (기원전 57년, 한국). 4. 후한 건국 (25년, 중국). 5. 야마타이국 형성 (1세기 말, 일본). 6. 고구려 졸본 통치 (1세기 초, 한국). 7. 후한 광무제 중흥 (30년, 중국). 8. 야마타이국 히미코 통치 (1세기 말, 일본). 9. 백제 한성 도읍 (1세기 초, 한국). 10. 후한 유교 공인 (50년경, 중국). 11. 신라 혁거세왕 즉위 (기원전 57년, 한국). 12. 후한 장제의 학문 장려 (76년, 중국). |
**2~3세기** | **삼국시대 (220년~280년)**: 위, 촉, 오 대립. | **고구려 중앙집권화 (53년)**: 태조왕 시기 영토 확장 시작. | **고훈 시대 (3세기~710년)**: 부족 연맹체 형성, 고분 문화 발달. | 1. 고구려 태조왕 영토 확장 (53년, 한국). 2. 삼국시대 시작 (220년, 중국). 3. 고훈 시대 고분 문화 (3세기, 일본). 4. 고구려 동천왕 즉위 (227년, 한국). 5. 촉한 제갈량 북벌 (228년, 중국). 6. 고훈 시대 부족 연맹 (3세기, 일본). 7. 고구려 한나라와 대립 (2세기 말, 한국). 8. 위나라 조조 사망 (220년, 중국). 9. 고훈 시대 불교 전래 준비 (3세기 말, 일본). 10.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황제 즉위 (229년, 중국). 11. 고구려 산상왕 즉위 (197년, 한국). 12. 삼국시대 촉한 멸망 (263년, 중국). |
**4세기** | **동진 (317년~420년)**: 남북조 분열 시작. | **고구려 광개토대왕 (391년~413년)**: 만주, 연해주까지 영토 확장. | **야마토 정권 (4세기 중반)**: 중앙집권 시작, 백제와 교류 활발. | 1. 광개토대왕 즉위 (391년, 한국). 2. 동진 건국 (317년, 중국). 3. 야마토 정권 형성 (4세기 중반, 일본). 4. 고구려 고국원왕 전사 (331년, 한국). 5. 북위 건국 (386년, 중국). 6. 야마토 정권 백제 교류 (4세기 말, 일본). 7. 고구려 후연 정벌 (396년, 한국). 8. 동진 환현의 북벌 (4세기 말, 중국). 9. 야마토 정권 고분 건축 (4세기, 일본). 10. 고구려 소수림왕 즉위 (371년, 한국). 11. 북위 도교 국교화 (4세기 말, 중국). 12. 야마토 정권 불교 수용 준비 (4세기 말, 일본). |
**5세기** | **남북조 시대 (420년~589년)**: 북위 불교 융성, 문화 교류 활발. | **신라 내물왕 (356년~402년)**: 고구려와 동맹, 왜군 격퇴. | **왜왕 무 (5세기 말)**: 중국 남조와 외교, 한반도 남부 영향력 확대. | 1. 신라 내물왕 즉위 (356년, 한국). 2. 남북조 시작 (420년, 중국). 3. 왜왕 무 외교 (5세기 말, 일본). 4. 신라 고구려 동맹 (4세기 말, 한국). 5. 북위 불교 융성 (5세기, 중국). 6. 야마토 정권 한반도 진출 (5세기, 일본). 7. 신라 지증왕 즉위 (437년, 한국). 8. 북위 태무제 통일 노력 (439년, 중국). 9. 야마토 정권 임나 교두보 (5세기, 일본). 10. 신라 불교 수용 준비 (5세기 말, 한국). 11. 남북조 유송 건국 (420년, 중국). 12. 야마토 정권 남조와 교역 (5세기 말, 일본). |
**6세기** | **수나라 (581년~618년)**: 대운하 건설, 통일 제국 재건. | **신라 법흥왕 (514년~540년)**: 불교 공인, 율령 반포. | **아스카 시대 (592년~710년)**: 쇼토쿠 태자 불교 공인, 17조 헌법 제정 (604년). | 1. 신라 법흥왕 불교 공인 (514년, 한국). 2. 수나라 건국 (581년, 중국). 3. 쇼토쿠 태자 17조 헌법 (604년, 일본). 4. 신라 율령 반포 (520년, 한국). 5. 수나라 대운하 건설 (605년, 중국). 6. 아스카 시대 불교 전래 (552년, 일본). 7. 신라 지증왕 공식 불교 수용 (527년, 한국). 8. 수나라 양제 즉위 (604년, 중국). 9. 아스카 시대 백제 교류 (6세기, 일본). 10. 신라 고구려와 대립 (6세기 중반, 한국). 11. 수나라 고구려 원정 실패 (598년, 중국). 12. 아스카 시대 율령제 준비 (6세기 말, 일본). |
**7세기** | **당나라 (618년~907년)**: 율령제 완성, 동아시아 문화 중심. | **고구려-당 전쟁 (645년)**: 연개소문 당 태종 격퇴. **신라-당 동맹 (676년)**: 삼국 통일. | **다이카 개혁 (645년)**: 중앙집권 체제 도입, 율령제 수용. | 1. 고구려-당 전쟁 (645년, 한국). 2. 당나라 건국 (618년, 중국). 3. 다이카 개혁 (645년, 일본). 4. 신라-당 동맹 (676년, 한국). 5. 당나라 율령제 완성 (624년, 중국). 6. 다이카 개혁 율령제 도입 (645년, 일본). 7. 고구려 연개소문 집권 (642년, 한국). 8. 당나라 태종 정관지치 (627년, 중국). 9. 일본 백제 멸망 지원 실패 (663년, 일본). 10. 신라 삼국 통일 (676년, 한국). 11. 당나라 고구려 멸망 (668년, 중국). 12. 다이카 개혁 후 백제 부흥 지원 (660년대, 일본). |
**8세기** | **당나라 안사의 난 (755년~763년)**: 당나라 쇠퇴 시작. | **발해 건국 (698년)**: 고구려 계승, 만주 지역 통치. | **나라 시대 (710년~794년)**: 헤이안쿄 건립, 불교 융성. | 1. 발해 건국 (698년, 한국). 2. 안사의 난 (755년, 중국). 3. 나라 시대 시작 (710년, 일본). 4. 발해 대조영 즉위 (698년, 한국). 5. 당나라 현종 황금기 (713년, 중국). 6. 헤이안쿄 건립 (710년, 일본). 7. 발해 당나라와 교류 (8세기, 한국). 8. 당나라 불교 박해 시작 (8세기 말, 중국). 9. 나라 시대 불교 융성 (8세기, 일본). 10. 발해 만주 통치 확장 (8세기, 한국). 11. 당나라 대장경 편찬 (8세기, 중국). 12. 나라 시대 율령제 안착 (8세기, 일본). |
**9세기** | **당나라 멸망 (907년)**: 오대십국 분열 시작. | **통일신라 문성왕 (839년~857년)**: 장보고 반란 진압, 해상 교통로 확보. | **헤이안 시대 (794년~1185년)**: 귀족 문화 발달, 가나 문자 창제. | 1. 장보고 반란 진압 (839년, 한국). 2. 당나라 멸망 (907년, 중국). 3. 헤이안 시대 시작 (794년, 일본). 4. 통일신라 해상 교역 (9세기, 한국). 5. 오대십국 시작 (907년, 중국). 6. 가나 문자 창제 (9세기, 일본). 7. 통일신라 후기 혼란 (9세기 말, 한국). 8. 당나라 황소의 난 (875년, 중국). 9. 헤이안 시대 귀족 문화 (9세기, 일본). 10. 통일신라 불교 융성 (9세기, 한국). 11. 당나라 불교 탄압 (845년, 중국). 12. 헤이안 시대 초기 안정 (9세기 초, 일본). |
**10세기** | **송나라 (960년~1279년)**: 경제·문화 융성, 화약 발명. | **고려 건국 (918년)**: 왕건, 후삼국 통일 (936년). | **헤이안 시대 지속**: 문학 발전 (『겐지 이야기』). | 1. 고려 건국 (918년, 한국). 2. 송나라 건국 (960년, 중국). 3. 『겐지 이야기』 집필 (10세기 말, 일본). 4. 후삼국 통일 (936년, 한국). 5. 송나라 화약 발명 (10세기, 중국). 6. 헤이안 시대 문학 융성 (10세기, 일본). 7. 고려 태조 왕건 즉위 (918년, 한국). 8. 송나라 태조 조광윤 통일 (960년, 중국). 9. 헤이안 시대 불교 확산 (10세기, 일본). 10. 고려 불교 국가로 발전 (10세기, 한국). 11. 송나라 경제 융성 (10세기 말, 중국). 12. 헤이안 시대 후지와라 가문 집권 (10세기, 일본). |
**11세기** | **송나라 북방 방어**: 요나라, 금나라와 대립. | **고려-거란 전쟁 (1018년)**: 강감찬 귀주 대첩 승리. | **겐페이 전쟁 시작 (11세기 말)**: 무사 정치 태동. | 1. 귀주 대첩 (1018년, 한국). 2. 송나라 요나라 대립 (11세기, 중국). 3. 겐페이 전쟁 시작 (11세기 말, 일본). 4. 고려 현종 즉위 (1009년, 한국). 5. 송나라 신종 개혁 (1069년, 중국). 6. 헤이안 시대 무사 세력 대두 (11세기, 일본). 7. 고려-거란 2차 전쟁 (1010년, 한국). 8. 송나라 금나라와 조약 (1125년, 중국). 9. 헤이안 시대 말기 혼란 (11세기 말, 일본). 10. 고려 불교 융성 (11세기, 한국). 11. 송나라 왕안석 변법 (1070년, 중국). 12. 헤이안 시대 귀족 쇠퇴 (11세기 말, 일본). |
**12세기** | **남송 (1127년~1279년)**: 금나라에 북방 상실. | **고려 무신정변 (1170년)**: 이의방, 무신정권 시작. | **가마쿠라 막부 (1185년~1333년)**: 미나모토 요리토모, 무사 정권 수립. | 1. 고려 무신정변 (1170년, 한국). 2. 남송 건국 (1127년, 중국). 3. 가마쿠라 막부 설립 (1185년, 일본). 4. 고려 이의방 집권 (1170년, 한국). 5. 남송 금나라 전쟁 (12세기, 중국). 6. 미나모토 요리토모 집권 (1185년, 일본). 7. 고려 이자겸의 난 (1126년, 한국). 8. 남송 악비 활약 (1140년, 중국). 9. 가마쿠라 막부 초기 안정 (12세기 말, 일본). 10. 고려 불교 쇠퇴 (12세기, 한국). 11. 남송 주희 유학 발전 (12세기, 중국). 12. 가마쿠라 막부 불교 융성 (12세기, 일본). |
**13세기** | **원나라 (1271년~1368년)**: 몽골 지배, 동아시아 통합. | **고려 원 간섭기 (1270년~1356년)**: 원나라 간섭, 삼별초 항쟁. | **몽골 침략 방어 (1274년, 1281년)**: 가마쿠라 막부 쇠퇴. | 1. 원 간섭기 시작 (1270년, 한국). 2. 원나라 건국 (1271년, 중국). 3. 몽골 1차 침략 (1274년, 일본). 4. 삼별초 항쟁 (1270년, 한국). 5. 원나라 쿠빌라이 칸 즉위 (1271년, 중국). 6. 몽골 2차 침략 (1281년, 일본). 7. 고려 원나라와 혼인 동맹 (13세기, 한국). 8. 원나라 남송 멸망 (1279년, 중국). 9. 가마쿠라 막부 쇠퇴 (13세기 말, 일본). 10. 고려 팔만대장경 완성 (1251년, 한국). 11. 원나라 동아시아 교역 확대 (13세기, 중국). 12. 가마쿠라 막부 호조 가문 집권 (13세기, 일본). |
**14세기** | **명나라 (1368년~1644년)**: 한족 왕조 복원, 해금 정책. | **조선 건국 (1392년)**: 이성계, 한양 수도 설정. | **무로마치 막부 (1336년~1573년)**: 남북조 분열. | 1. 조선 건국 (1392년, 한국). 2. 명나라 건국 (1368년, 중국). 3. 무로마치 막부 설립 (1336년, 일본). 4. 조선 태조 이성계 즉위 (1392년, 한국). 5. 명나라 주원장 통일 (1368년, 중국). 6. 남북조 분열 (1336년, 일본). 7. 조선 한양 수도 설정 (1394년, 한국). 8. 명나라 해금 정책 시작 (1371년, 중국). 9. 무로마치 막부 초기 혼란 (14세기, 일본). 10. 조선 유교 국가로 전환 (14세기 말, 한국). 11. 명나라 홍무제 중앙집권 (1368년, 중국). 12. 무로마치 막부 아시카가 가문 집권 (14세기, 일본). |
**15세기** | **명나라 융성**: 정화의 항해 (1405년~1433년). | **세종대왕 (1418년~1450년)**: 한글 창제 (1443년), 경국대전 편찬. | **오닌의 난 (1467년~1477년)**: 전국시대 시작. | 1. 한글 창제 (1443년, 한국). 2. 정화의 항해 시작 (1405년, 중국). 3. 오닌의 난 (1467년, 일본). 4. 세종대왕 즉위 (1418년, 한국). 5. 명나라 영락제 즉위 (1402년, 중국). 6. 전국시대 시작 (1467년, 일본). 7. 조선 경국대전 편찬 (1485년, 한국). 8. 명나라 북경 천도 (1421년, 중국). 9. 전국시대 다이묘 대립 (15세기 말, 일본). 10. 조선 세종 과학 발전 (15세기, 한국). 11. 명나라 해금 정책 강화 (15세기 중반, 중국). 12. 전국시대 무사 문화 발전 (15세기 말, 일본). |
**16세기** | **명나라 쇠퇴**: 만주족 세력(후금) 대두. | **임진왜란 (1592년~1598년)**: 일본 침략, 이순신 활약. | **도요토미 히데요시 통일 (1590년)**: 조선 침략 주도. | 1. 임진왜란 발발 (1592년, 한국). 2. 후금 건국 (1616년, 중국). 3. 도요토미 히데요시 통일 (1590년, 일본). 4. 이순신 명량 해전 (1597년, 한국). 5. 명나라 만리장성 강화 (16세기, 중국). 6. 조선 침략 (1592년, 일본). 7. 조선 중종 반정 (1506년, 한국). 8. 명나라 가정제 쇠퇴 (1521년, 중국). 9. 오다 노부나가 통일 노력 (1573년, 일본). 10. 조선 사림 세력 대두 (16세기, 한국). 11. 명나라 장거정 개혁 (1572년, 중국). 12. 도요토미 히데요시 한반도 원정 실패 (1598년, 일본). |
**17세기** | **청나라 (1644년~1912년)**: 만주족 지배, 강희제 융성. | **병자호란 (1636년)**: 청나라 항복, 삼전도 굴욕. | **에도 시대 (1603년~1868년)**: 도쿠가와 이에야스, 쇄국 정책. | 1. 병자호란 (1636년, 한국). 2. 청나라 건국 (1644년, 중국). 3. 에도 시대 시작 (1603년, 일본). 4. 삼전도 굴욕 (1636년, 한국). 5. 청나라 강희제 즉위 (1661년, 중국). 6. 도쿠가와 이에야스 집권 (1603년, 일본). 7. 조선 효종 북벌 계획 (1650년, 한국). 8. 청나라 명나라 멸망 (1644년, 중국). 9. 에도 시대 쇄국 정책 (1639년, 일본). 10. 조선 실학 태동 (17세기 말, 한국). 11. 청나라 대만 정복 (1683년, 중국). 12. 에도 시대 기독교 탄압 (1614년, 일본). |
**18세기** | **청나라 건륭제 (1735년~1796년)**: 영토 최대 확장. | **조선 영·정조 시대**: 실학 발달, 탕평책 시행. | **에도 시대 지속**: 상업·문화 발달, 평화 유지. | 1. 영조 탕평책 (1724년, 한국). 2. 건륭제 즉위 (1735년, 중국). 3. 에도 시대 상업 발달 (18세기, 일본). 4. 정조 즉위 (1776년, 한국). 5. 청나라 영토 확장 (1757년, 중국). 6. 에도 시대 문화 융성 (18세기, 일본). 7. 조선 실학 발전 (18세기, 한국). 8. 청나라 백련교 반란 (1796년, 중국). 9. 에도 시대 농민 봉기 (18세기 말, 일본). 10. 조선 규장각 설립 (1776년, 한국). 11. 청나라 건륭제 10대 정벌 (18세기, 중국). 12. 에도 시대 우키요에 발전 (18세기, 일본). |
**19세기** | **아편전쟁 (1839년~1842년)**: 서구 열강 개입, 불평등 조약. | **흥선대원군 집권 (1863년~1873년)**: 쇄국 정책, 서구 열강 대응. | **메이지 유신 (1868년)**: 근대화 개혁, 제국주의 대두. | 1. 흥선대원군 집권 (1863년, 한국). 2. 아편전쟁 (1839년, 중국). 3. 메이지 유신 (1868년, 일본). 4. 조선 쇄국 정책 (1866년, 한국). 5. 태평천국의 난 (1850년, 중국). 6. 메이지 헌법 제정 (1889년, 일본). 7. 조선 병인양요 (1866년, 한국). 8. 청나라 난징 조약 (1842년, 중국). 9. 일본 흑선 내항 (1853년, 일본). 10. 조선 신미양요 (1871년, 한국). 11. 청나라 의화단 운동 (1899년, 중국). 12. 일본 러일전쟁 준비 (19세기 말, 일본). |
**20세기** | **중화민국 (1912년~1949년)**: 국공내전. **중화인민공화국 (1949년)**: 마오쩌둥 집권. **덩샤오핑 개혁 (1978년)**: 경제 개방. | **일제강점기 (1910년~1945년)**: 3·1 운동 (1919년), 광복 (1945년). **6·25 전쟁 (1950년~1953년)**: 분단 고착화. **민주화 운동 (1987년)**: 6월 항쟁, 직선제 도입. | **태평양 전쟁 (1941년~1945년)**: 패망, 미군 점령. **고도 성장기 (1955년~1973년)**: 경제 대국화. **버블 붕괴 (1991년)**: 장기 불황. | 1. 일제강점기 시작 (1910년, 한국). 2. 중화민국 건국 (1912년, 중국). 3. 태평양 전쟁 (1941년, 일본). 4. 3·1 운동 (1919년, 한국). 5.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949년, 중국). 6. 버블 붕괴 (1991년, 일본). 7. 6·25 전쟁 (1950년, 한국). 8. 덩샤오핑 개혁 (1978년, 중국). 9. 고도 성장기 시작 (1955년, 일본). 10. 6월 항쟁 (1987년, 한국). 11. 문화대혁명 (1966년, 중국). 12. 일본 헌법 개정 (1947년, 일본). |
**21세기**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13년 시진핑 집권**: 일대일로 정책. **2020년 코로나19 대응**: 방역 성공. | **2002년 월드컵 4강**.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2024년 12·3 계엄령 사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21년 스가 요시히데 사임**: 정치 불안. **2025년 오사카 엑스포** 준비. | 1. 월드컵 4강 (2002년, 한국). 2. 베이징 올림픽 (2008년, 중국). 3. 동일본 대지진 (2011년, 일본). 4. 평창 동계올림픽 (2018년, 한국). 5. 시진핑 일대일로 (2013년, 중국). 6. 오사카 엑스포 준비 (2025년, 일본). 7. 12·3 계엄령 사태 (2024년, 한국). 8. 코로나19 대응 (2020년, 중국). 9. 스가 요시히데 사임 (2021년, 일본). 10. 한국 정치 혼란 (2024년, 한국). 11. 중국 홍콩 국가보안법 (2020년, 중국). 12. 일본 도쿄 올림픽 (2021년, 일본). |
분석 및 요약
- 기원전 30~1세기: 중국은 하·상·주·한나라를 통해 문명 발전의 중심이 되었고, 한국은 고조선과 부여로 초기 국가 체제를 형성했습니다. 일본은 조몬과 야요이 시대를 통해 농업과 철기 문화를 받아들였습니다.
- 1세기 이후: 중국은 삼국시대와 당나라를 통해 동아시아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고, 한국은 삼국시대와 고려를 통해 독자적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일본은 야마토 정권과 헤이안 시대를 거치며 귀족 문화를 꽃피웠습니다.
- 근대 및 현대: 19세기부터 서구 열강의 영향이 커지며 중국과 한국은 쇠퇴와 외세 침략을 겪었으나, 일본은 메이지 유신으로 근대화를 이루었습니다. 20~21세기에는 한국의 민주화, 중국의 경제 대국화, 일본의 경제·사회적 도전이 주요 특징입니다.
반응형